-
반응형
매년 가스요금이 인상되면서 난방비에 대한 부담이 많으신데요. 난방비를 절약하면 현금으로 돌려받을 수 있는 도시가스 캐시백 혜택을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오늘은 도시가스 캐시백 신청자격과 신청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도시가스 캐시백이란?
도시가스 캐시백은 정부에서 동절기 도시가스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 운영하는 제도입니다. 올해 12월부터 내년 3월까지 주택난방용 도시가스 사용량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 이상 절약하면 절감량에 따라 현금으로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30%한도, 10원 단위 절사)
모바일 가스앱으로 가스비 절약하기
모바일에서 가스앱을 설치하여 요금조회, 납부,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는 캐시 적립을 받을 수 있는데요.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검색창에 가스앱을 검색하신 후 앱을 설치하여 회원가입 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가스 캐시백 참여대상
주택난방용 (개별난방,중앙난방 포함) 도시가스 요금제를 사용하는 누구나 참여가능 합니다.( 취사용은 제외)
절감기간: 2023년 12월 ~ 2024년 3월
비교기간: 2022년 12월 ~ 2023년 3월
신청기간
2023년 12월 ~ 2024년 3월 (4개월)
도시가스 캐시백 신청은 올해 12월 1일부터 2024년 3월 31일까지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가스 캐시백 지급기준
기존 7%이상에서 3%이상으로 변경
도시가스캐시백은 올해부터 난방비 절감 혜택이 더욱 확대되었습니다. 지난해는 도시가스 사용량을 7%이상 줄여야 캐시백 대상이 되고, ㎥당 최대 금액는 70원이었는데요. 올해부터는 3%부터 캐시백을 받을 수 있고, 금액도 ㎥당 최대 200원으로 높아졌습니다.
캐시백 지급 방식
절감 성공 시 현금지급
캐시백 지급은 절감 성공 시 신청자의 계좌로 현금 지급됩니다. 전년 동기간 대비 3%이상 절감 시 절감율별 차등 지급되는데요. 절감율이 높을수록 더 많은 캐시백을 받을 수 있습니다.
캐시백 산정 예시
12월 ~ 3월까지 사용량에 대해 1월 ~ 4월 고지서로 절감량이 계산됩니다.(부피 단위)
출처: 도시가스 캐시백 (k-gascashback.or.kr) 비교기간 사용량(400㎥)절감기간 사용량 (340㎥),절감량(60㎥)
절감률 = 60/400 = 15%
캐시백 금액= 60(㎥) x 100(원/㎥)= 6,000원
도시가스 캐시백 신청방법
도시가스 캐시백 신청방법은 k-가스캐시백 사이트에서 회원가입하시면 캐시백 신청이 완료됩니다.
캐시백 지급 제외 대상
아래에 해당하는 경우 캐시백 지급대상에서 제외됩니다.
1. 전출, 전입, 명의변경 등으로 인해 도시가스사 또는 고객식별번호가 변경되어 절감기간 및 비교기간의 전체 사용량 조회가 불가능한 경우
2.주택난방용 이외에 산업용, 업무난방용 등 다른 용도의 요금제를 사용할 경우
3. 신청자(회원가입자)와 계약자 명의가 다르거나 계약자 정보제공동의서를 제출하지 않은 사용자
4. 도시가스사 또는 고객식별번호를 오기입하여 사용량 조회가 불가능한 경우
5. 중앙난방에서 개별난방으로 전환하여 절감기간 및 비교기간 중 각 세대별 사용량 자료가 없는 경우
6. 기타사유로 절감기간 및 비교기간의 사용량 조회가 불가능한 경우
주요일정
2023년 12월 1일부터 2024년 3월 31일까지 신청과 절감기간을 거친 후, 24년 5월부터 6월까지 절감량 산정을 하여
24년 7월 ~ 8월 사이 장려금이 지급될 예정입니다.
더욱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도시가스 캐시백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가스 캐시백
KOGAS 한국가스공사, 정보공개, KOGAS 정보, 업무계획, 예산운영계획,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 도시가스 캐시백, 도시가스 절약 캐쉬백, 도시가스 캐쉬백
k-gascashback.or.kr
반응형'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광장 스케이트장 이용방법 입장권 가격 강습 예약방법 총정리 (46) 2023.12.23 스타벅스 새 텀블러 쿠폰 정책 및 NFT발행 (39) 2023.12.22 카카오페이 신한카드 하이브리드 체크카드 '페이머니체크카드' 출시 이벤트 (31) 2023.12.20 서울시 기후동행카드 1월 27일 출시 발급 및 이용방법 (63) 2023.12.19 인천시 저출산 정책 출산지원금 1억 플러스 아이드림 발표 (15) 2023.1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