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응형
디플레이션의 정의와 원인 및 해결방법
오늘은 경제학의 주요 개념인 디플레이션의 정의와 원인 및 해결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디플레이션(Deflation)의 정의
디플레이션은 인플레이션(Inflation) 의 반대의 뜻으로 일반적인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을 말합니다.통화의 가치가 상승하여 물가가 떨어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물가가 이렇게 떨어지게 되면 좋은 현상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사실은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물가가 지나치게 오르는 인플레이션도 문제가 되지만, 반대로 물가가 너무 떨어져도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참고로 물가가 한두 달가량 하락했다고 해서 디플레이션이라고 하지 않으며, 국제통화기금(IMF)에서는 약 2년 이상 물가가 떨어지는 현상을 디플레이션이라고 정의합니다.
디플레이션이 발생하는 현상은 국가의 화폐가치의 상승으로 인해 소비자들은 상품을 구매하는 것에 더 적은 돈을 사용하게 되고, 기업의 매출과 이익은 감소하여 상품의 생산량을 줄이게 됩니다. 이는 기업의 고용 감소로 인해 실업률이 증가하고 가계파산등과 같은 부정적인 영향으로 경기 침체로 발전할 수 있게 됩니다.
디플레이션이 발생하는 현상은 국가의 화폐가치의 상승으로 인해 소비자들은 상품을 구매하는 것에 더 적은 돈을 사용하게 되고, 기업의 매출과 이익은 감소하여 상품의 생산량을 줄이게 됩니다. 이는 기업의 고용 감소로 인해 실업률이 증가하고 가계파산등과 같은 부정적인 영향으로 경기 침체로 발전할 수 있게 됩니다.
디플레이션의 발생하는 원인
디플레이션의 발생하는 원인은 다양합니다 대표적인 사례는 다음과 같습니다.
수요성 디플레이션(Demand-Pull Deflation)
총수요가 공급보다 더 많이 감소하여 상품의 가격이 지속적으로 떨어지는 상황을 뜻합니다. 소비자와 기업이 소비 지출을 줄여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감소할 경우 발생하게 됩니다.총수요가 감소하는 원인으로는 대출 이자비용의 상승, 경기침체 등이 있습니다. 수요성 디플레이션을 해결하는 방법으로는 총수요를 증가시킬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합니다. 수요를 증가시키는 정부 정책으로는 재정지출 확대, 금리 인하, 세금감면 등
공급성 디플레이션(Cost-Push Deflation)
경제의 공급이 감소하게 되어 물가가 하락하는 현상을 말합니다.기업의 생산비용이 높아짐에 따라 기업의 상품을 만들어내는 비용을 인상하게 되면, 물가가 하락하게 됩니다. 공급이 감소하는 원인으로는 임금상승, 원자재 가격 상승, 자연재해 등이 있습니다.
재정성 디플레이션(Fiscal Deflation)
정부가 재정 지출을 줄이게 되거나 세금을 인상하는 국가 재정 축소를 하게되면 가계를 비롯한 기업의 이익이 감소하여 소비와 투자심리가 위축되고 이런 현상은 수요를 감소시키게 되어 물가가 하락하게 됩니다.
금융성 디플레이션(Financial Deflation)
금융성 디플레이션은 정부의 금융시스템이 전반적으로 금융위기나 신용 경색등으로 인해 기업과 가계의 자금 조달이 힘들어지게 됩니다. 이는 소비자들의 투자와 소비심리를 위축시키게 되고 물가는 하락하게 되는 상황이 될 수 있습니다.
예) 유럽 연합과 디플레이션
유럽연합(EU)은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에 따른 디플레이션을 겼었습니다. 디슬레이션은 2009년~ 2015년까지 장기간 지속되었습니다. EU는 디플레이션을 위해 양적완화 정책을 시행하여 통화의 공급량을 늘렸고, 정부 지출을 늘리고 세금을 낮추는 제정정책을 시행했습니다. 또한 노동시장의 규제를 완화하여 노동시장의 유연성을 높이는 정책을 시행했습니다.
예) 미국과 디플레이션
최근 몇년간 코로나 19-팬데믹으로 인해 심각한 경제적 혼란과 디플레이션을 발생하게 되었습니다. 코로나바이러스라는 전염병의 디플레이션을 막기 위한 해결책으로 미국 정부와 연준은 금리를 거의 제로 수준으로 낮추며 양적 완화를 시행하고 금융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대출 프로그램을 수립하는 방법 등의 통화정책을 시행하였습니다.
또한, 미국 정부는 디플레이션 완화를 위해 소득지원을 제공하고 소비자의 지출을 유지할 수 있는 CARES(안보) 법 및 후속 구호 법안과 같은 재정 부양 패키지를 통과시켰습니다.
디플레이션을 해결하는 방법
물가가 점차 하락하는 현상을 보이는 디플레이션은 우리 경제에 부정적인 영양을 미치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 다양한 해결책이 필요합니다. 정부와 중앙은행은 디플레이션을 해결할 수 있는 정책으로 다음과 같은 국가 정책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통화정책:디플레이션을 해결하는 정책으로 중앙은행은 통화정책을 시행합니다. 금리를 인하하여 대출부담을 완화시키고 대출을 활성화하여, 화폐 공급량을 증가시켜 유동성을 공급하게 되는 통화정책을 시행하여 경제 활동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재정 정책:정부는 세금을 낮추거나, 정부의 지출을 늘리는 재정 정책을 사용하여 수요를 확대하여 물가 하락을 통제할 수 있습니다. 양적완화: 중앙은행이 국채를 사들여 유통량을 늘리게 되면 통화량이 증가하여 경제를 활성화 시킬수 있습니다. 무역정책:정부는 관세감면 ,인하 및 무역 장벽제거와 같은 무역정책은 수출을 늘리고, 수입품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켜 경제성장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준비금 제도:은행이 유동성과 안정성 확보를 위해 준비금을 보유하는 은행 준비금제도를 말하며, 디플레이션 방지를 위해 통화량을 늘리고 경제 활성화를 위해 준비금 요구 사항을 줄일 수 있습니다.
결론
디플레이션을 겪고 있는 나라의 정부는 통화공급량을 늘리고 금리를 인하하는 등의 정책을 시행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국가정책이 항상 좋은 효과를 보여주는 것은 아닙니다. 디플레이션은 심각한 경기 침체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정부는 디스플레이션이 발생하지 않도록 철저히 대비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반응형'경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시경제학의 개념과 원리 (2) 2023.06.14 거시경제학의 개념과 원리 (2) 2023.06.12 미국 금리인상을 활용하는 방법 (2) 2023.06.11 인플레이션의 정의와 원인 및 해결방법 (0) 2023.06.10 경제학의 아버지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 (1) 2023.06.08